발기부전 치료법이 중년 남성의 불륜을 증가시켜 노령층 이혼율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틸버그대학 사회학자 카타리나 로터 박사 연구진은 스위스의 45세 이상 이혼자 5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대상자들은 평균 25.41년간 함께 살았으며 85%가 자녀를 둔 부부였다.
조사 결과 전체 중 약 절반에 해당하는 48%가 이혼 사유로 ‘불륜’을 꼽았다. 이중 응답자의 72%는 여성이었다. 즉 응답자 중 남편의 불륜으로 이혼한 여성이 아내의 불륜으로 이혼한 남성보다 많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고령 남성의 불륜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전 연구도 있다”면서 “이는 노년기에 심각한 건강 문제를 피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고 발기부전 치료법이 널리 보급됐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매체 더 선은 “발기부전은 40대 남성 10명 중 약 1명에게 영향을 미친다”면서 “나이가 들면서 비아그라와 같은 약은 성관계 지속 시간을 몇 년 더 늘려준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으나, 발기부전 치료법의 일반화로 건강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이 고령 남성의 불륜 비율 증가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암시했다.
다만 중년 부부의 이혼율 증가가 단순히 배우자의 불륜 때문만은 아니며 부부간의 소외감, 부조화, 의사소통 문제 등 점진적인 관계 단절을 이혼 사유로 꼽은 사람이 전체의 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모든 연령대를 아우르는 이혼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가지 군집으로 구분된다”면서 “하나는 부부 사이에 발생하는 높은 수준의 갈등과 약물 남용, 가정폭력, 불륜 등의 문제적 행동, 또 다른 하나는 소외감, 갈등 해결 능력 부족, 동반자 관계 결여, 의사소통 문제 등을 포함하는 결혼 생활의 질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적·정서적 불륜이나 다양한 형태의 학대 등 결혼과 관련된 ‘역할 위반’을 이혼의 주된 이유로 언급하는 경우는 이전보다 줄었다. 대신 결혼 생활의 질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이혼의 더 큰 이유로 언급됐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가족 구조의 변화와 복잡성, 어린이와 성인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방식 및 정책 요인 등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둔 국제 저널인 ‘패밀리 트랜지션스’ 최신호(8월 21일자)에 실렸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