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0년 전 고대 이집트의 신비로운 피라미드를 만나는 특별한 경험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지고 있다. 용산 전자랜드에서 열리는 ‘쿠푸왕의 피라미드’ VR 전시회는 실제 출입이 불가능한 피라미드 내부를 가상현실(VR) 기술로 생생하게 구현해 화제를 모으는 중이다.
이 전시는 프랑스 VR 콘텐츠 제작사인 엑스쿠리오(Excurio)가 선보이는 작품이다. 관람객들은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약 한 시간 동안 피라미드의 복도, 왕의 방, 미라 추정 지점 등을 직접 걸으며 탐험할 수 있다. 단순한 관람을 넘어, 마치 과거로 시간 여행을 온 듯한 깊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문화유산의 새로운 트렌드: 디지털 복원
‘쿠푸왕의 피라미드’는 단순히 새로운 형태의 전시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문화유산의 디지털 복원 트렌드를 보여준다. 이제 박물관들은 3D 스캔과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유물을 더 깊이 있고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유산을 전 세계 누구나 쉽게 접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K-헤리티지, 디지털 기술로 세계를 만나다
이런 흐름은 한국에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한국은 경복궁, 창덕궁, 수원 화성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비롯한 풍부한 역사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미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시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고구려 고분벽화 체험관’을 운영하며 벽화 내부를 실제 크기로 체험하게 한다. 문화재청도 ‘디지털 실감콘텐츠 제작 사업’을 통해 백제 금동대향로와 신라 천마총 내부를 3D로 복원했다.
AR 경복궁 체험앱이나 메타버스 수원 화성과 같은 모바일 기반 콘텐츠도 등장하며 디지털 역사 콘텐츠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한국의 고유한 문화유산이 VR, AR 기술과 결합하면 교육 자원을 넘어 ‘K-콘텐츠’의 새로운 축을 형성하고 고급 디지털 관광 자원으로 발전할 수 있다. ‘쿠푸왕의 피라미드’ 전시가 보여주듯, 기술과 유산이 만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내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박정연 칼럼니스트 yeonii0110@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