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3일 전승절 열병식에서 개량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東風·DF)-61을 비롯한 신무기를 대거 공개한 가운데, 레이저 무기도 모습을 드러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날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TWZ)등 외신은 중국이 고출력 레이저 무기 LY-1을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앞선 리허설에서는 방수포로 가려져 있었던 LY-1은 이날 특유의 큰 원형 렌즈를 뽐내며 차량 위에 장착된 채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그 옆으로 여러 개의 작은 렌즈도 있는데, 이는 목표물 포착 및 추적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양옆으로 상자 모양의 구조물에는 레이더나 무선 주파수 센서와 같은 장비가 탑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LY-1의 모습은 공개됐으나 레이저의 출력 등급을 포함한 세부 정보와 실전 배치 여부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LY-1은 동력 장치를 장착할 공간이 충분해 더 높은 출력을 보유할 수 있다”면서 “무인 장비의 공격뿐만 아니라 대함 미사일도 매우 낮은 비용으로 요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TWZ는 LY-1이 차량 위에 탑재된 것에 주목했다. 그간 LY-1은 주로 드론과 미사일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기 위한 함상용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열병식을 통해 지상을 이동하며 발사하는 형태로도 개발됐다는 것을 보여준 것. TWZ는 “LY-1의 크기와 구성을 볼 때 고출력 무기 범주에 속하며 드론이나 미사일과 같은 공중 위협으로부터 함선을 보호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면서 “함선 방어는 레이저 무기 개발의 주요 목표인데, LY-1은 미 해군의 레이저 무기 헬리오스(HELIOS)와 유사하다”고 짚었다.
이처럼 레이저 무기가 전승절 열병식에 등장한 것은 그만큼 이 무기가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중국, 영국, 이스라엘, 우크라이나 등 여러 국가가 레이저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레이저 무기는 고출력 에너지를 직접 표적에 집중시켜 파괴하는 기술로 빛의 속도로 목표물을 무력화시킬 수 있고 정밀 타격과 연속 교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무기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중국은 이날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육·해·공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전략적 핵 3축 체계’를 공개했다. 공중 발사 장거리 미사일인 징레이(驚雷·JL)-1을 비롯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巨浪·JL)-3, 지상 발사 미사일 DF-61, DF-31을 선보인 것이다. 또한 중국은 ‘괌 킬러’로 불리는 DF-26의 개량형인 DF-26D 대함미사일과 무인 잠수정, 항공기 등 유·무인 복합체계도 대거 공개하며 전 세계에 무력을 과시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