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악의 원전 사고를 겪은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는 모니터링이 진행됐다. 지난 3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참모본부는 군 방사선 관련 부대가 체르노빌 출입금지구역(CEZ) 내에서 작전을 수행해 4호 원자로를 덮고 있는 석관 근처의 안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발생한 의문의 폭발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로, 해당 부대는 방사선 검출기 등 장비를 들고 직접 현장에서 검사하고 샘플을 수집했다. 우크라이나 참모본부는 “방사능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이라면서 “체르노빌 지역의 잠재적 위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아직 방사성 물질 유출 등 위험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복구 작업은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러시아는 이를 우크라이나의 자작극이라고 반박했다. 러시아 외무부 마리야 자하로바 대변인은 젤렌스키가 서방으로부터 더 많은 무기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무섭고 피비린내 나는 위험한 공연을 벌였다”고 주장했다.
한편 체르노빌 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는 1986년 4월 26일 구 소련(현재 우크라이나)의 키이우 남방 130㎞ 지점에서 일어났다. 이 사고로 인한 피폭(被曝)과 방사능 후유증 등으로 수십만 명의 사상자를 낳았으며 사실상 피해 집계가 불가능할 만큼 체르노빌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재앙으로 기록됐다. 사고 이후 주변 지역이 방사능에 오염되면서 인근 30㎞가 출입금지구역으로 지정돼 민간인은 물론 군 병력조차도 접근이 차단됐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