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누군가 불쾌하게 해도 억압적 권력이나 분위기 때문에 억지로 미소짓는다. 내면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도 결국은 아름다운 외모를 선망한다. 함께 하자고 독려하고 응원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내 밥그릇부터 챙기기 마련이다. 돈보다 중요한 것을 수없이 나열하면서도 결국 돈을 좇는 결정을 내린다. 용서하지 못했으면서도 용서했다고 말하고, 지금 이 순간이 행복하다 자랑하면서도 더 나은 내일을 꿈꾼다. 이렇게 우리는 모순적인 삶을 살아간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다.
고통스러운 삶이 빚어낸 명작, 작가 다자이 오사무오늘은 이러한 인간의 모순적인 면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작가 다자이 오사무(본명 쓰시마 슈지)의 생애부터 조명해 본다. 1909년부터 1948년까지 짧은 삶을 살았으며, 다섯 번의 자살 시도 끝에 39세의 나이로 스스로 생을 마감한 일본의 대표적 문학 작가다.
그는 일본 본토 북단에 위치한 아오모리현 쓰가루군 가나기촌에서 태어났다. 당시 동북 지방은 일본 내에서도 기근이 많은 가난한 지역이었지만, 지역의 손꼽히는 대지주였던 아버지 덕에 풍요로운 삶을 누렸다. 고등학교 시절, 동급생들과 달리 자신 혼자만 호화로운 옷차림을 할 정도였다. 천성적으로 예민한 감수성을 지녔던 그는 ‘가진 자’로서의 죄의식을 느꼈고, 그때 처음 죽음을 떠올렸다. 그리고 빈부 격차 해소를 주요 사상으로 하는 공산주의에 관심을 두게 된다.
평소 타인의 마음을 다치게 하는 것을 싫어해 꼭 해야 할 말조차 삼켰으며, 자신을 포함해 마음과 다르게 행동하는 인간들을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그 과정에서 깊은 자기 연민에 빠졌고 생애 다섯 번 자살을 시도했다. 마지막 자살을 시도하던 해에 집필한 작품이 바로 ‘인간실격’이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생은 ‘인간실격’의 주인공 오바 요조의 삶과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다. 부유한 가정 환경에서 태어났지만 고립된 유년기를 보낸 점, 창작을 업으로 삼았다는 점(요조는 삽화가, 다자이 오사무는 작가), 약물 중독으로 정신병원에 수용된 점, 인간관계에 환멸을 느낀 점, 그리고 여러 차례 자살 시도 끝에 생을 마감했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소설 초반부의 한 대목은 두 사람의 공통된 성향을 잘 보여준다. 요조의 아버지가 그에게 갖고 싶은 선물을 묻자, 요조는 전혀 갖고 싶지 않았던 ‘사자춤 탈’을 갖고 싶다고 답한다. 책을 선물받고 싶었지만, 아버지가 그 탈을 자신에게 사주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이는 평소 솔직한 감정을 드러내기 어려워했던 다자이 오사무의 모습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 칼럼을 쓰는 지금도 둘의 생애를 분리해서 봐야 할지 혼란스러울 정도다. 오히려 다자이 오사무의 삶이 요조의 삶보다 더 극적인 면이 있어 ‘인간실격’이 마치 그의 수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왜 우리는 ‘인간실격’에 공감하는가출간된 지 수십 년이 지났음에도 ‘인간실격’은 여전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셀러다. 이토록 어둡고 쓸쓸하기만 한 소설이 왜 끊임없이 사랑받는 것일까?
이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는 사실 단순하다. ‘마음속 그대로를 표현할 수 없는 게 인간’이라는 것, 이 사실이 결국 많은 이들의 깊은 공감을 산 것이다. 오늘 내가 보낸 하루를 되돌아보고 지난 한 주, 지난 한 달을 다시 그려본다. 나 역시 ‘인간실격’의 경계 안에서 행동했음을 깨닫는다. 재미없는 농담에도 웃음으로 답했고, 위선과 가식적인 상황에서도 태연한 척했으며, 정작 이 모든 것들과 단절하고 싶은 진짜 마음은 꽁꽁 감추었다.
우리는 모두 자기 연민에 익숙하고 공감 능력이 뛰어나지만, 이것이 결국 나약함으로 발현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솔직하게 말하지 않는다. 그렇게 타인과 깊은 관계를 피하고 매일 ‘인간실격’의 태도를 보이고 만다. 우리도 요조와 다를 바 없는 것이다.
우동희 칼럼니스트 wsiwdh@hobanhnr.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