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준비하면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 또는 나라의 역사적 사실을 조사하는 일이다. 그러다보니 맛집을 탐방하고 싶거나 유명 음식을 경험하고 싶은 동행자들에게 불만 섞인 목소리를 많이 듣는 편이다. 물론 나라고 해서 맛있는 음식에 대한 욕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일본을 방문할 때마다 해당 지역에 있는 유명한 당고 가게를 미리 찾아보는 편이다.
도쿄 여행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당고 가게는 ‘오이와케당고’(追分だんご)였다. 이 가게는 신주쿠역 동쪽 출구에서 도보로 약 10분 정도 거리에 있다. 겉으로 볼 때는 작고 아담한 가게처럼 보이지만 4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브랜드다.
길이 갈라지는 곳에서 맛보던 간식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이 돼 에도 막부를 열면서 일본 역사의 중심은 오사카에서 에도(도쿄)로 이동했다. 당시 신주쿠에는 갈림길을 중심으로 여행객들에게 당고를 팔던 노점이 많았다. 일본어로 갈림길을 ‘오이와케’라고 하고 여기서 팔던 당고를 ‘오이와케당고’라고 불렀다. 오이와케당고를 팔던 가게가 여기 하나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4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는 곳은 신주쿠 오이와케당고 가게가 유일하다고 한다.
원래 당고(團子)는 신사 또는 절에서 사용하는 제사음식으로 시작됐다. 이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음식으로도 사용됐고 시간이 지나 일상에서 즐겨 먹는 간식이 되었다. 에도시대 이후로는 차(茶)를 마실 때 곁들이는 디저트로 자리매김했다.
노렌이 더러울수록 맛집이다(?)일본에서 가게에 들어갈 때 제일 먼저 만나는 것은 입구에서 바람에 휘날리는 가리개다. 이 가리개는 차가운 바람이나 뜨거운 햇살을 가리기 위해 걸어둔 것으로 ‘노렌’(暖簾)이라고 불린다.
애초 노렌은 바람과 햇살을 가리기 위해 걸었지만 나중에는 간판 역할을 했다. 상인들은 노렌에 상호와 표식 등을 새겨 넣었고, 문맹률이 높았던 당시 사람들은 노렌에 새겨진 모양으로 가게를 구분했다. 노렌이 걸려 있으면 ‘영업 중’이고, 걸려있지 않으면 ‘영업 종료’를 의미했기에 영업 상황도 파악할 수 있었다.
노렌과 관련한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있다. 내부는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유독 노렌만 지저분한 가게가 은근히 많다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네프킨, 물티슈 등 위생용품들이 많지만, 예전에는 위생용품이 귀했기에 손님들이 식사하다가 손이 더러워지면 가게를 나가면서 노렌에 닦고 나가는 풍습이 있었다. 그래서 ‘노렌이 더러울수록 손님이 많은 가게’라는 이미지가 생겨났고 이러한 풍습 때문에 오늘날에도 더러워진 노렌을 세탁하지 않고 그냥 걸어두는 가게가 많다고 한다.
한정구 칼럼니스트 deeppocket@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