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로의 비너스’는 기원전 2세기경 제작된 대리석 조각이다. 이름에 붙은 밀로는 조각가가 아니라 작품이 발견된 곳으로, 에게해 서쪽에 있는 섬 이름이다. 작가명이 붙지 않아 ‘작가 미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몸체와 따로 발견된 받침대에 안티오크의 알렉산드로스라고 적혀 있긴 했다. 그러나 받침대는 운송 도중 소실돼 버렸다.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도 작가 이름을 공란으로 두고 있다.
이렇게 오해가 많은 ‘밀로의 비너스’는 어떻게 루브르 박물관으로 오게 되었을까. 1820년 한 농부가 밀로 섬에서 건축 자재를 구하기 위해 땅을 파다가 비너스 조각을 발견했다. 그리스 주재 프랑스 대사인 리비에르 후작은 발견 소식을 듣자마자 바로 달려가 작품을 확인했다. 한눈에 심상치 않음을 느낀 후작은 이를 루이 18세에게 바쳤다. 루이 18세는 이듬해 루브르 박물관에 ‘비너스’를 전시했다.
‘밀로의 비너스’는 배꼽을 중심으로 1:1.618이라는 황금비율이 적용됐다. 황금비율이란 가장 조화롭고 아름다운 비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 황금비는 신체 모든 부분에 적용돼 이상적인 몸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이 비율이 적용된 예술 작품은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상을 꼽을 수 있다. 일상에서는 명함, 신용카드, 담뱃갑, 애플사 로고에 이르기까지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이렇게 조화로운 황금비율에도 불구하고 조각상은 커다란 흠이 있었다. 바로 사라진 팔이었다. 발견 당시 조각상은 두 조각이었고, 두 팔은 찾을 수가 없었다. 루브르의 복원팀은 조각을 붙였다. 이 흔적은 엉덩이 부분에 미세하게 남아 있다. 그러나 팔 부분은 어찌할 수가 없었다.
복원팀은 사라진 팔의 자세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많은 예술 작품에서 비너스(그리스에선 아프로디테)는 대체로 한 손에 사과를 든 채 등장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 황금사과를 건네는 이야기에서 비롯됐다. 아프로디테가 황금사과를 받은 그림을 많은 예술가들이 남기면서 비너스와 사과는 마치 한 몸처럼 보였다. 따라서 복원팀은 비너스가 왼손엔 사과를 들고 있고 오른손은 흘러내리는 치맛자락을 붙잡고 있다고 추정했다. 복원가들은 이 자세를 기본으로 팔이 있는 완벽한 형태의 비너스 상을 구현하고자 했다.
서둘렀던 탓에 철저하게 고증하지 못했으며 어설픈 복원은 오히려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됐다. 복원팀은 완벽하게 만들지 못할 바엔 복원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잘못 건드렸다가 작품의 성격을 바꿀 수도 있다는 점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밀로의 비너스’는 왼팔, 오른팔, 왼발이 없다. 그러나 본질이 완벽하기 때문에 팔과 발의 부재는 보이지 않는다.
이미경 연세대 연구교수·미술사학자 bostonmural@yonsei.ac.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